분할매수와 분할매도 > 주식이야기

하락장에서 단계별로 매수해서 단계가 오를때 마다 하위에서 매수한 주식을 매도하는 방식이다.

 

 매입순서  주가 매수수량  매수금액 
 100,000  10  100,000 
 9,500  10  95,000 
 9,000  10  90,000 
 4   8,500  10  85,000 
 8,000  10  80,000 

 

위와 같이 매입을 했다고 가정해보자

 

8,000원 이하에서 바닥을 찍고 올라와서 9,000원이 됐을때 8,500에서 산 주식과 8,000원에서 산 주식을 매도한다.

총 10주씩 샀으니까

90,000 – 80,000 = 10,000

90,000 – 85,000 = 5,000

총 15,000원의 수익이 생긴다.

 

주가가 다시 왔다갔다 하다가 9,500 이 되었다.

이때 9,000원에 샀던 주식을 매도한다.

95,000 – 90,000 = 5,000

5,000원의 수익이 생긴다

 

마지막으로 105,000 으로 주식이 올라왔을때 나머지를 판다.

그럼 5,000원 수익이 생긴다.

 

15,000 + 5,000 + 5,000 = 25,000

 

결과적으로 450,000원을 투자해서 총 25,000원 4%의 수익을 얻었다.

 

이렇게 투자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면서 저점이라고 잘못 판단해서 큰 손실을 보는 것을 막기위한 매수/매도 방법이다.

 

 

※ 분할매수와 물타기의 차이점

 

결과적으론 똑같은 거지만 계획적으로 하느냐 아니냐의 차이이다.

물타기는 저점이라고 판단해서 매수를 했는데 더 떨어져서 평균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더 매수하는 것을 말한다.

물타기는 지양해야할 투자법이다.

 

댓글 달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

위로 스크롤